WOLFS+JUNG
The creative collaboration between Emmanuel Wolfs and Boyoung Jung began in London in 2003, emerging from their shared interest in a critical and conceptual exploration of everyday objects. Having studied Industrial Design at La Cambre in Brussels and Woodworking and Furniture Design at Hongik University in Seoul, respectively, the two artists found common ground while pursuing graduate studies at the Royal College of Art in London. Upon graduation, they established the design studio DrawMeaSheep (2005-2009) in Belgium.
Their early projects, which focused on translating observations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into sculptural objects that invite reflection, established the conceptual framework that continues to define their practice today. 'Nature V2.01' (2006-2009) served to spark questions and reflec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s, nature, and industry. Inspired by their experience witnessing rapid urban development during four years living and working in Beijing (2008-2012), the 'Land Project' (2011-2012) unveiled a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individual and collective relationships to physical places and time. Projects such as 'A Voice' (2015) explore the symbolic language of the raised fist within today’s global resurgence of protest culture and social movements. They have continuously expanded their practice, embracing diverse themes and mediums, while also undertaking urban design commissions and art/design consultancy projects.
Since 2009, operating under the name WOLFS+JUNG, their artistic collaboration has continued, with the duo based in Seoul since 2012. Their work, which spans various mediums including cast bronze, wood, metal, found objects, and clay, has been featured at major international fairs and institutions including Design Miami/Art Basel, Pavillon of Art and Design (PAD) London and Paris, M+ Museum, Salon ART + DESIGN New York, Gwangju Design Biennale, Milan Salone del Mobile, MUDAC Lausanne, and Saint-Étienne Design Biennale.
Emmanuel Wolfs currently leads WOLFS+JUNG’s sculptural practice while serving as a professor of Industrial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since 2012. He has also recently been collaborating with artists and museums on photographic and video works related to Korean culture. At the same time, artist Boyoung Jung has independently developed her artistic interests, which originated from her sculptural practice, through new mediums such as ink on Hanji paper and textiles. Her semi-abstract compositions using traditional Korean Jogakbo techniques have been acquired by the M+ Museum, Hong Kong, for their permanent collection, and her abstract ink-on-Hanji works have been featured in two solo exhibitions. This dual practice allows both artists to pursue individual investigations while maintaining their collaborative dialogue.


Jung Bo Young and Emmanuel Wolfs, 021 gallery, Korea, 2019
Square Tree Trunk by WOLFS+JUNG, cast bronze, group exhibition, Gabrielle Ammann//Gallery, Germany, 2014


울프스앤정
엠마누엘 울프스(Emmanuel Wolfs)와 정보영의 공동작업은 일상 속의 오브제를 통한 비판적이고 개념적인 탐구라는 공통의 관심사에서 출발하여 2003년 런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벨기에 라 캄브르(La Cambre)에서 산업 디자인을, 한국 홍익대학교에서 목조형 가구 디자인을 전공한 두 예술가는 런던 왕립 예술 대학(Royal College of Art)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으며 서로 뜻이 통하는 지점을 발견하고, 졸업 후, 벨기에에 디자인 스튜디오 DrawMeaSheep (2005-2009)을 만들어 협업하게 됩니다.
현대 사회와 문화에 대한 관찰을 성찰을 유도하는 조각적인 오브제로 풀어내는 데 집중했던 그들의 초기 프로젝트는 현재까지도 그들의 작업 정체성을 규정하는 개념적 틀을 구축했습니다. 'Nature V2.01'(2006-2009)은 인간, 자연, 산업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질문과 성찰을 불러일으키게 하였고, 베이징에서 4년간(2008-2012) 거주하며 급격한 도시 개발을 목격한 경험에서 영감을 받은 'Land Project'(2011-2012)는 물리적 장소와 시간에 대한 개인적, 집단적 관계에 대한 철학적 시각을 드러내었습니다. 또 'A Voice'(2015)와 같은 작품은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재부상하는 시위 문화와 사회 운동 속에서 솟아 오른 주먹이 가진 상징적 언어를 탐구하는 등, 다양한 주제와 매체를 아우르며 점차 정교해지고 확장되었고, 도시 디자인 커미션 및 예술/디자인 컨설팅 프로젝트도 병행해 왔습니다.
2009년부터 WOLFS+JUNG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예술적 협업을 이어갔고, 2012년부터는 서울에 거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들의 작업은 주조 청동, 나무, 금속, 발견된 오브제, 점토 등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Design Miami/Art Basel, Pavillon of Art and Design (PAD) London and Paris, M+ Museum, Salon ART + DESIGN New York, 광주디자인비엔날레, Milan Salone del Mobile, MUDAC Lausanne, Saint-Étienne Design Biennale 등 주요 국제 박람회 및 기관에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엠마누엘 울프스는 현재 WOLFS+JUNG의 조각 작업을 이끌면서 2012년부터 국민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미술가들, 뮤지엄들과 협업하며 한국의 문화에 대한 사진, 영상 작업도 해나가고 있습니다. 정보영 작가 역시 조소 작업에서 출발해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개인의 예술적 관심사를 한지에 먹, 직물 등 새로운 미디엄을 통해 발전시켜가고 있습니다. 전통 조각보 기법을 활용한 반추상 구성작업은 홍콩 M+ 미술관에 영구 소장되었으며, 한지에 먹으로 그린 추상 작업으로 두 차례 개인전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이중적 활동을 통해 두 예술가 모두 협업의 대화를 유지하면서도 각자의 개인적인 탐구를 추구해가고 있습니다.